2022년 12월 8일 목요일

고다르 jean-luc godard


<고다르jean-luc godard>

-솔라리스 3부작 중 세 번째, 언어의 세계와 비언어의 세계-


*아래의 영화(총 8편) 정보를 살펴보시고 감상을 원하시면 eungsu_k@daum.net 으로 원하시는 영화와 성함을 보내주십시요. 2일 이내로 영화를 발송해드리겠습니다. 영화를 모두 다운로드 하시고 첨부하는 계좌로 감상비를 입금해주십시요. 감상료는 1편당 1만원 이상입니다.


장르

없음


영화정보

hd/흑백&컬러/16:9/23.97fps/stereo/60분 52초/2023년


주요 만든 사람들

각본: 김응수 김경연

촬영: 김응수

편집: 김백준

소리: 손주황


모티브

가장 많이 영화인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고다르 감독이 세상을 떠났다. 세상을 떠났다는 표현은 이 세상을 기준으로 하는 말이다. 나는 비로소 그와 친구가 될 수 있었다, 다른 세상에서. 그곳이 더 평등한 세상일 것이다. 왜냐, 이곳에서 나는 그와 친구가 될 수 없는데, 나이 차, 재능의 차, 명성과 무명, 잘난 사람과 평범한 사람 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미 이렇게 차이의 세상에서 사는데 굳이 더 미미한 차이를 드러내야 직성이 풀리는 현대의 강박 속에 산다. 죽은 사람과 친구가 되는 것은 아주 쉽고도 독한 일이다. 우정의 즐거움이 현실의 그런 것, 술과 대화와 위로가 아니기 때문이다. 나는 주관적인 나의 친구, 죽은 사람 몇몇을 갖고 있다. 그들은 나의 영화의 텍스트나 이미지, 음악이 된다.

예전에 <언어와의 작별>이란 제목을 보고 언어와의 작별을 언어로 말씀하시네, 언어를 쓰지 않고 언어와의 작별을 제시하는 방법은 없을까? 그것은 가능한 영화일까? 매일은 아니지만 간혹 고민했다. 비로소 그가 ‘언어와의 작별’을 했을 때 영화가 삶을 모방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삶이 영화를 모방 재현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언어와의 작별’은 그가 모방 재현하고 싶은 것이었다. 실제로 그렇지만, 우리는 영화가 현실을 재현한다는 확고한 이데올로기적 믿음을 가지고 있다.

원래는 솔라리스 3부작 중 세 번째 영화인 ‘언어의 세계와 비언어의 세계’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었다. 그 세 번째 영화의 가제는 <말과 돌>이었고 결혼의 언약과 돌의 침묵에 관한 영화였다. 솔라리스 연작의 첫 번째 영화는 ‘현실과 가상’의 이야기인 <바다의 극장theater of the sea>이고, 두 번째 영화는 ‘논픽션과 픽션’에 관한 <생 로랑sang rorang>이었다. 세 번째 이야기를 거의 다 완성했을 때 고다르 감독이 세상을 떠났다. 나는 했던 것을 버리고 바로 그의 죽음을 모티브로 하여 다시 만들기로 했다. 생각해보면, ‘언어의 세계와 비언어의 세계’를 만들도록 충동질했던 모티브는 <언어와의 작별>이라는 영화 제목이었다. 그러니까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 느낌인데, 왜 이렇게 긴 시간 우회를 했는지는 본인도 모를 일이다. <고다르>라는 제목을 가진 이 영화가 그와 그의 영화에 대한 비평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살아생전에는 그의 이름을 거론하는 것이 왠지 부담스러웠을까? 그렇다고 죽음 이후에 이름을 거론하는 것이 무작정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아무튼 이런 과정을 거쳐 <고다르>라는 영화가 나오게 되었다. 이 영화는 그와 그의 영화에 대한 평론이 아니다. 찬사도 아니고, 투정도 아니다. 몇 개의 사적 의문점을 그에게 묻는다. 그가 대답하지 않는다는 것, 그것이 이 영화의 대답이다. 우리는 비언어로 만난다.


줄거리

주인공은 그의 뼈를 찾는다. 존재는 살이 아닌 뼈라는 믿음에서다. 주인공은 읊조린다. ‘남들이 당신의 영화를 사랑하는 것처럼 저도 당신의 영화를 사랑하고 싶었지만, 언어가 우리를 갈라놓았어요. 불어를 배우면 당신의 영화를 이해할까, 노력하면 할수록 나는 더욱 더 미궁에 빠지고 말았지요. 결국 나는 당신의 영화를 해독하는 것을 포기했어요.’ 주인공은 묻는다. ‘그럼 당신은 당신 자신과 자신의 영화를 우리에게 설명할 수 있었나요? 우리는 언어의 희생양이 되어 서로 헛고생을 한 건가요? 언어와의 작별을 한 지금은 행복하십니까?’ 그는 대답이 없다. 주인공은 그의 영화에 대해 궁금해 했던 것을 묻는다. 솔직한 의문들이었지만 부끄러워서 감히 물어보지 못한 것들이다. 그는 대답이 없다. 주인공은 알쏭달쏭했던 그의 영화 속의 깨달음에 대해서도 알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대답이 없다. 해변의 묘지에는 돌의 파편들만이 나뒹군다.















감독소개

김응수는 1966년 충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했다. 이후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1996), <달려라 장미>(2006), <물속의 도시>(2014), <오, 사랑>(2017), <스크린 너머로>(2019) 등 23편의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장르 없는 영화를 만들었다. 『J1:힉스. 존재의 무게』 『J2:알람브라 궁전의 석주』(써네스트, 2012), 영화제작 과정에서 만난 한 청년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픽션 『나쁜 교육』(사가, 2022) 등의 책을 썼다.


작품

1996년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극영화

2002년 욕망/극영화

2005년 달려라 장미/극영화

2006년 천상고원/극영화

2008년 과거는 낯선 나라다/다큐멘터리

2010년 물의 기원/극영화

2012년 아버지 없는 삶/다큐멘터리

2014년 물속의 도시/다큐멘터리

2016년 옥주기행/다큐멘터리

2017년 우경/극영화

2018년 오, 사랑/다큐멘터리

2018년 초현실/다큐멘터리

2018년 산나리/다큐멘터리

2019년 나르시스의 죽음/장르구분 없음

2019년 스크린 너머로/장르구분 없음

2020년 마지막 풍경/장르구분 없음

2020년 모호한 욕망의 대상/장르구분 없음

2020년 흔들리는 카메라/장르구분 없음

2021년 사각형을 위한 씻김굿/장르구분 없음

2021년 시간의 고고학/장르구분 없음

2021년 바다의 극장/장르구분 없음

2022년 생 로랑/장르구분 없음

2023년 고다르/장르구분 없음


2022년 3월 8일 화요일

생 로랑 saeng rorang

<생 로랑saeng rorang>

-논픽션의 거짓과 픽션의 진실-


*아래의 영화(총 8편) 정보를 살펴보시고 감상을 원하시면 eungsu_k@daum.net 으로 원하시는 영화와 성함을 보내주십시요. 2일 이내로 영화를 발송해드리겠습니다. 영화를 모두 다운로드 하시고 첨부하는 계좌로 감상비를 입금해주십시요. 감상료는 1편당 1만원 이상입니다.


영화정보

hd/16:9/23.97fps/컬러/스테레오/72분 58초/2022년


주요 만든 사람들

제작/각본/감독 김응수

프로듀서 서정술

촬영 김응수

편집 김백준

자문 김경연

소리 정구항 이원섭


기획 의도

<생 로랑seang rorang>은 <솔라리스solarlis> 연작 중 두 번째 영화다. 첫 번째는 <바다의 극장theater of the sea>이다. <바다의 극장>이 대면의 거짓과 비대면의 진실을 다루었다면, <생 로랑>은 논픽션의 거짓과 픽션의 진실을 이미지화 해보려고 노력했다.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겠지만, 거짓은 아무짝에도 쓸모없으니 진실만을 취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세상의 진실을 아는 순간, 우리는 사는 것을 멈춰야 한다. 진실은 참을 수 있는 불편함을 넘어 비정하고 사납다. 진실이 내 목덜미를 움켜쥐기도 하지만, 반대로 나라는 인간의 진실이 타인을 후려갈긴다. 그리하여 살기를 소망한다면, 우매하게도 거짓을 감수해야 한다. 그럼 진실은? 그것은 너무도 치명적이기에 갈구하는 제스처와 허구 속에서만 취해야 한다. 이 영화의 주인공이 그렇게 간사하고 현명하다. 당신도 그럴 것이다. 그러나 간혹, 끝끝내 쟁취할 수는 없지만 진실로 진실을 욕망하는 사람에게서는 경외와 동시에 두려움이 싹튼다. 그는 사라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줄거리

주인공은 스마트 폰으로 찍은 조잡한 바다 하나를 극진히 간직하고 있다. 마치 페티시즘의 대상으로서의 사물처럼... 그 바다는 연인과 헤어진 곳이었다. 그렇기에 사적 비밀의 의미가 샘솟는다. 그는 그 바다를 노트북에 띄워놓고 하루 종일 본다. 그는 (그 바다가 그를 이끌고 가는 것임에도) 자신이 스스로 연인과의 순수한 사랑의 장소인 생 로랑을 찾아간다고 착각한다. 픽션을 만드는 자는 누구인가? 당신도 나도 아니다. 계산된 이성으로는 픽션의 진실 속으로 들어갈 수 없다. 다른 무언가에 의지해야 한다. 열망이 간절하였는지, 그는 픽션 속으로 들어가고 사라져버린다. 그 바다와 함께! 세상은 그대로인데 정작 그는 없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현실에 있다. 그는 방구석에서 한 발짝도 움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것이 그가 사는 요령이었다. 이성 외의 힘을 빌려, 나름 순수해지기를 갈망하는 존재처럼 자기를 채색하는... 그것이 부조리하다고 빈정거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최선인...


                                            saeng rorang_highlight


                                            
                                              saeng rorang_poster

                                              saeng rorang_still_1

                                             saeng rorang_still_2

                                              saeng rorang_still_3

                                             saeng rorang_still_4

                                              saeng rorang_still_5

                                             saeng rorang_still_6

                                             saeng rorang_still_7

                                              saeng rorang_still_8

                                              saeng rorang_still_9

                                             saeng rorang_still_10


감독 소개

김응수는 1966년 충주에서 태어났고, 서울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했다. 이후, 한국과 외국의 영화과를 다녔지만 모두 중도포기하고, 영화는 오직 개인적인 탐구와 습작으로 공부했다. 1966년 극영화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로 데뷔하여 몇 편의 극영화를 만들었지만, 2006년 <천상고원>이후에는 극영화와 다큐멘터리가 혼재된 작품을 하였으며, 또 2012년 <아버지 없는 삶> 이래에는 주로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도 했지만, 2019년 <나르시스의 죽음> 이후 현재는 장르가 없다고 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물론 궤적 안에는 에세이 필름과 비디오아트도 있다. 이 변화는 다양한 장르에 대한 사적 호기심을 표현하기도 하지만,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작품

1996년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극영화

2002년 욕망/극영화

2005년 달려라 장미/극영화

2006년 천상고원/극영화

2008년 과거는 낯선 나라다/다큐멘터리

2010년 물의 기원/극영화

2012년 아버지 없는 삶/다큐멘터리

2014년 물속의 도시/다큐멘터리

2016년 옥주기행/다큐멘터리

2017년 우경/극영화

2018년 오, 사랑/다큐멘터리

2018년 초현실/다큐멘터리

2018년 산나리/다큐멘터리

2019년 나르시스의 죽음/장르구분 없음

2019년 스크린 너머로/장르구분 없음

2020년 마지막 풍경/장르구분 없음

2020년 모호한 욕망의 대상/장르구분 없음

2020년 흔들리는 카메라/장르구분 없음

2021년 사각형을 위한 씻김굿/장르구분 없음

2021년 시간의 고고학/장르구분 없음

2021년 바다의 극장/장르구분 없음

2022년 생 로랑/장르구분 없음